1. 온라인 쇼핑
최종 구매와 결제를 위해 정보를 제공할 때, 그 정보가 정확히 어디로 제공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어플은 구글플레이, 앱스토어에서 제공되는 어플만 설치하여 쇼핑하여야 한다. 구하기 힘든 화장지, 마스크, 손소독제를 미끼로 한 피싱 이메일도 많이 들어올 것이라 경고하며, 온라인 쇼핑은 직접 보고 사는 것이 아니므로 가짜상품에 주의해야 한다.
2. 화상회의
많은 기업들이 재택근무 체제로 돌입하면서 화상회의 플랫폼 사용량이 급증했다. 하지만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연결해서 들어와 정보 공유라는 본질적 특성 때문에 공격 가능성이 다분하다. 가상 회의 세션을 항상 비공개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안 전문가들은 중요한 내용은 허술한 화상회의 플랫폼 사용을 금하고 있다.
3. 원격 의료 서비스
텔레헬스 (원격 의료 지원 서비스)가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의료진인 척 연락하는 피싱 공격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병원 측에서 사전예고 없이 환자에게 연락하는 것은 피싱 공격으로 조심해야 한다.
4. 경기 부양을 위한 세금 환급
온라인 세금 지불 시스템의 경우 여러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절차로 인해 세금 기관인 것처럼 위장해 사용자들을 속인다.
5. 온라인 학습
많은 학교들이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아이들이 계속해서 집에 있는 상황에서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해주는 모든 장비에 ‘아동 보호 장치(parent control)’를 마련해야 한다. 스마트 TV, 랩톱, 태블릿, 게임 장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6. 넷플릭스 파티
넷플릭스는 랩톱, 데스크톱에서 구글 크롬을 통해서만 앱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집에 있는 TV 장비를 통해 넷플릭스 파티를 즐기기 시작했다면, 사물인터넷 보안 규칙을 전부 적용해야 안전해진다. 펌웨어 업데이트, 보안 업데이트를 관심있게 봐야한다.
7.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 메신저(Facebook Messenger)의 트래픽이 크게 급증했다. 그러면서 친구 목록도 자꾸만 채워지는 중이다. 공격자들이 이런 틈을 타 친구 신청을 마구 하고 있어 메신저를 통한 피싱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는 "지금처럼 소셜 미디어에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을 때 차라리 친구 목록을 한 번 정리하라”고 권한다.
Copyrighted 2015. UBM-Tech. 117153:0515BC
[국제부 문가용 기자(globoan@boannews.com)]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87656&skind=D